Spring38 Basic_MVC2 environment-> intelij(Ultimate)+springInitialize+templateEngine(Mustache) fronted : bootstrap GIT-HUB ▶github.com/KBY-TECH/SpringBasic_MVC2 #SpringBasic_MVC2 이번 MVC 연습에서 H2 라는 휘발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회원가입 , 로그인, 로그아웃, 해당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려면 당사자가 로그인을 해야하며 해당 로그인한자가 다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정하지 못하도록 메인 페이지로 돌려보내도록 세션을 활용하여 구현하였습니다.그리고 해당 board와 user클래스에 각각 JPA를 상속받아 JPA의 기본적인 메소드를 이용하였고 이번에는 id 값으로 찾는 것이 아닌 username을 가.. Spring/Spirng_CRUD(MVC_Patterns) 2020. 11. 19. SpringFrameWork CoreTechnition_section1_5부 Environment Profile 기능과 Property 기능 Profile 기능 ApplicationContext는 Environment 상속 받고 있어 getEnvironment()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먼저 Environment 무언인가? 환경이라는 뜻으로 해석 할 수 있는데 말 그대로 각기 다른 환경마다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빈들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환경에서 쓰이는 빈들 알파,베타,감마 버젼에 사용되는 빈들 또는 특정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빈들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여러 빈들의 묶음을 Profile 라고 합니다. 먼저 BookRepository 라는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TestConfiguration 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작성합니다. @profile(" p.. Spring/Spring_CoreTechnologies 2020. 11. 18. SpringFrameWork CoreTechnition_section1_4부 Scope of Bean 스코프 : 모든 빈들이 가지고 있는 것. (대표적으로 싱글톤(default)과 프로토타입이 있음.) 싱글톤 :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해당 빈의 인스턴스가 오직 하나인 것. 프로토타입 : 해당 인스턴스가 계속 새로운 인스턴스 객체 생성. (스레드에 사용될 것같다.) *주의* 스레드세이프한 방법으로 코딩해야 합니다. 싱글톤은 프로퍼티가 공유가 됩니다. 여러 곳에서 고치면 스레드 세이프 보장받지 않습니다.(멀티스레드 환경) 프로토타입이 싱글톤 빈을 참조하면? -> 아무 문제 없음. 프로토타입은 매번 새로운 인스턴스이지만 싱글톤은 매번 같은 객체니깐 상관은 없습니다! 싱글톤 빈이 프로토타입 빈을 참조하면? -> 안됨. 프로토타입의 스코프가 변경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바뀌지 않습니다.. Spring/Spring_CoreTechnologies 2020. 11. 17. SpringFrameWork CoreTechnition_section1_3부 @Component와 컴포넌트스캔. 주요기능 스캔 위치(Basepackages 위치) 설정.(범위 : 기본적으로 같은 패키지 안에 있는 빈들은 가능 외부는 x. 따로 무엇인가 필요하다.) 필터 : 어떤 어노테이션 스캘 할지 또는 안 할지. => 어디서 부터 어디까지 어떤 것을 걸러낼 것인지가 중요. @Component : Bean 등록하는 것.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Configuration * 단점이 있다면 ApplicationContext에서는 Singleton은 초기에 생성되는데, 양이 많을 시 구동 시간에 오래 걸릴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구동 타임에서만 성능이 떨어지지만 그 후에 추가로 빈을 생성하는 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Function을 사용한 빈 등.. Spring/Spring_CoreTechnologies 2020. 11. 17. SpringFrameWork CoreTechnition_section1_2부 2) @Autowired Autowired : 필요한 의존 객체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하는 것입니다. - 기본적으로 (required=True) 이 들어가 있음. 사용 위치 가정: bookService 클래스와 bookRepository 라는 두개의 클래스가 있고 bookService 클래스 안에 bookRepository 주입 하려 합니다. 생성자 bookclass 에 @Repository 선언. # Service Class. @Autowired() // 의존성 주입 @Inject BookRepository bookRepository; public BookService(BookRepository bookRepository) { this.bookRepository = bookRepositor.. Spring/Spring_CoreTechnologies 2020. 11. 17.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