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43 백준__2229번 : 조 짜기 (골드 5) www.acmicpc.net/problem/2229 2229번: 조 짜기 알고스팟 캠프에 N(1≤N≤1,0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조별 수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조별 수업의 목적은 잘 하는 학생들과 덜 잘 하는 학 www.acmicpc.net 문제 알고스팟 캠프에 N(1≤N≤1,0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조별 수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조별 수업의 목적은 잘 하는 학생들과 덜 잘 하는 학생들을 같은 조로 묶어서 서로 자극을 받으며 공부하도록 만들기 위함이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실력 차이가 많이 나도록 조를 편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조를 편성할 때 같은 조에 속하게 된 학생들의 나이 차이.. Algorithm/백준 2021. 1. 5. 행렬 제곱 (정방행렬) <백준10830번 문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행렬의 제곱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행렬 A의 (18,19)승을 구하고 싶다고 하면, 어떻게 계산하는 것이 빠르겠습니까? 가장 먼저 생각하시는것이 순차적으로 A * A 을 구하고 또 A^2 * A ... 이런식으로 하나하나 곱해가는 방식이 가장 먼저 생각이 나실 겁니다!!!! 혹시 여기에서 단서가 있지 않을 까 싶어 노트에 적고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A*A -> A^2 을 구하게 되고 A^2을 가지고 A^2 * A^2 곱하게 되면 지수가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행렬읮 제곱을 구할 때 지수가 짝수일 때는 A^2 을가지고 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며 홀수 일때는 단순히 홀수-1 => 짝수가 될 수 있는 원리를 생.. Algorithm 2020. 11. 11. 피보나치 수 3 <백준 2749번 문제>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749 ※공식※ 피보나치 수를 나눌 수를 K라고 할 때, 이면, 피사노 주기는 2749번 문제의 출력 조건은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합니다." 인데, 피보나치 수를 나눈 나머지들은 반드시 주기를 가지며, 이를 피사노 주기라고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 2 위 내용을 참고해 2749번 문제를 풀면서 사용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보나치 수를 나눌 수를 K라고 할 때, k=10^n 이면, 피사노 주기는 15∗10^n−1이다. 문제에서 106106 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주기는 1,500,000 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의 최대값이 1,000,000,000,0.. Algorithm 2020. 11. 11. 이전 1 ··· 6 7 8 9 다음